분류 전체보기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node.js란 무엇인가? node.js란?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 된 JavaScript 런타임이다. 즉, 노드를 통해 다양한 자바스크립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서버를 실행하는데 제일 많이 사용된다. Node.js는 JavaScript를 서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Node.js는 V8이라는 JavaScript 엔진 위에서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환경)이다.Node.js는 서버사이트 스크립트 언어가 아니다. 프로그램(환경)이다.Node.js는 웹서버와 같이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node.js의 특징- 확성성이 있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서버사이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머신러닝이란 ? 머신러닝이란 ?인공지능의 하위 집합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명시적으로 프로그래밍하지 않고 신경망과 딥러닝을 사용하여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인공지능 : 기계를 인간 행동의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 것)(딥러닝 : 머신러닝의 여러 방법 중 하나의 방법론으로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 머신러닝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은 더 많은 '경험'을 쌓으면서 스스로 지속적으로 조정하고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따라서 처리할 더 크고 다양한 데이터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의 개념-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방법의 하나로 빅데이터를 스스로 분석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기술이다.(빅데이터 : 기존 데.. [JAVA] 직렬화(Serialization) 란 ? 직렬화란 ?직렬화(Serialization)는 객체 인스턴스의 데이터를 I/O스트림에 적합한 일련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이 과정을 거쳐 파일, 메모리 버퍼, 네트워크 전송을 통해 동일하거나 다른 컴퓨터환경에서 객체 인스턴스를 재구성할 수 있다.객체 인스턴스는 메모리 주소 값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주소 값을 그대로 송신하면 수신 받는 쪽에서는 아무 쓸모 없는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객체 인스턴스의 값의 형태로 변환이 필요하다. JAVA 객체 직렬화 구현 1) Serializable 구현클래스 객체의 직렬화를 가능하게 하려면, Serializable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한다.Serializable 인터페이스에는 메서드나 필드가 없으며, 직렬화 가능한 의미 체계를 식별하는 역할만 사용.. [JAVA] 리플렉션(Reflection) 이란? 리플렉션(Reflection) 이란? 리플렉션은 힙 영역에 로드된 Class 타입의 객체를 통해, 원하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인스턴스의 필드와 메소드를 접근 제어자와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PI이다. 여기서 로드된 클래스라고 함은, JVM의 클래스 로더에서 클래스 파일에 대한 로딩을 완료한 후, 해당 클래스의 정보를 담은 Class 타입의 객체를 생성하여 메모리의 힙 영역에 저장해 둔 것을 의미한다. 리플렉션의 장점?런타임 시점에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접근 제어자와 관계 없이 필드와 메소드에 접근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리플렉션의 단점?캡슐화를 저해한다.런타임 시점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므로 컴파일 시점에서 해당 .. [JAVA] 제너릭이란? 제너릭이란 ?List list1 = new ArrayList();List list2 = new ArrayList();Map map = new ArrayList();위와같이 꺽쇠안에 클래스 타입이 명시된 패턴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이걸 제네릭(Generic) 이라고 부르며, 제네릭 파라미터는 꺽쇠안에 포함하여 전달한다. 제너릭은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다루는 메서드나 컬렉션 클래스에 컴파일 시의 타입 체크를 해주는 기능이다.다시 말해 특정 타입을 미리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타입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 타입이라는 것. 제너릭의 장점 및 사용이유?타입에 대해 유연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타입 체크와 형변환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코드가 간결해진다.타입을 유연하게 처리하며, 잘못된 타입 사용으.. [ORACLE] 오라클 HINT 란? 오라클 HINT 란? 힌트는 SQL튜닝의 핵심부분으로 일종의 지시구문이다.SQL에 포함되어 쓰여져 옵티마이저(Optimizer)의 실행 계획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게 해준다.오라클 옵티마이저라고 해서 항상 최선의 실행 계획을 수립할 수는 없으므로, 잘못된 실행 계획을 개발자가 직접 바꿀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사용자는 특정 SQL문장에서 어떤 인덱스가 선택도가 높은지에 대해 알고 있는데,이럴경우 옵티마이저에 의존하여 나온 실행 계획보다 훨씬 효율적인 실행계획을 사용자가 구사할 수 있다.단, 무분별한 힌트의 사용은 오히려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이 필요하다. Referencehttps://blog.naver.com/wideeyed/80036376623https://yulsfa.. [DB] 옵티마이저란(Optimizer) ? 데이터 베이스 옵티마이저란 ? 옵티마이저는 SQL을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최적의 처리경로를 생성해주는 DBMS 내부의 핵심 엔진이다. 옵티마이저의 특징 ? 옵티마이저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두뇌와 같은 역활을 담당한다.개발자가 SQL을 작성하고 실행하면 즉시 실행되는것이 아닌, 옵티마이저에서 실행 계획을 세운다.옵티마이저가 선택한 실행 방법의 적절성 여부는 쿼리 수행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옵티마이저 종류규칙 기반 최적화(Rule-Based Optimizer, RBO)비용 기반 최적화(Cost-Based Optimizer, CBO)휴리스틱 기반 옵티마이저(Heuristic-Based Optimizer) 1. 규칙 기반 최적화 (Rule-Based Optimizer, RBO) .. Code Refactoring (코드 리팩토링)이란? 리팩토링(Refactoring)이란 ?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결과의 변경없이 코드의 구조를 재조정함'을 뜻한다.주로 가독성을 높히고 유지보수를 편하게 한다.버그를 없애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행위는 아니다.사용자가 보는 외부 화면은 그대로 두면서 내부 논리나 구조를 개선하는 유지보수 행위이다. 리팩토링(Refactoring)의 목적 및 사용이유 ?소프트웨어를 더 이해하기 쉽고 수정하기 쉽게 만드는 것성능을 최적화 시키는것이 아니라 코드를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게 만들어주고, 코드 품질을 좋게 만들어준다.중복된 코드의 제거코드가 이해하기 쉽고 수정하기 쉬움으로 개발속도 증가 리팩토링(Refactoring)의 사용시기 삼진규칙 (3번의 중복 / 3번의 같은 행위를 한다면 리팩토링을 진행하자.)기능을..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