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이란?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이란? 넓은 의미로 보자면,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은 머신러닝의 전체과정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이다. 좁은 의미의 파이프 라인은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왔을 때 이 데이터의 라벨을 예측하기까지 필요한 프로세스이다.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의 필요성?자동화 및 효율성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높힌다. 재현성 및 일관성 동일한 데이터와 파라미터 설정으로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확장성 대규모 데이터 및 복잡한 모델에 대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협업 여러 팀 구성원 간의 협업을 용이하게 한다.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의 단계?데이터 수집데이터베이스, API 또는 파일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서 새 데이터를 수집한다.(유용하게 사용하기 위.. 머신러닝의 학습방법(지도/비지도/강화) 머신러닝의 개념 먼저 확인하기💨https://mi-logg.tistory.com/19 머신러닝이란 ?머신러닝이란 ?인공지능의 하위 집합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명시적으로 프로그래밍하지 않고 신경망과 딥러닝을 사용하여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개선할 수 있게 해준다.(mi-logg.tistory.com 머신러닝의 학습방법머신러닝의 학습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1. 지도 학습2. 비지도 학습3. 강화 학습 1. 지도학습(문제와 정답을 모두 알려주고 공부시키는 방법)입력 값과 함께 결과 값(정답 / Label)을 같이 주고 학습을 시키는 방법반복 학습을 통해 오류를 줄여가면서 점차 정답에 가까워지는 방법대표적인 알고리즘 : 분류(Classification), 회귀(Regression).. node.js란 무엇인가? node.js란?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 된 JavaScript 런타임이다. 즉, 노드를 통해 다양한 자바스크립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서버를 실행하는데 제일 많이 사용된다. Node.js는 JavaScript를 서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Node.js는 V8이라는 JavaScript 엔진 위에서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환경)이다.Node.js는 서버사이트 스크립트 언어가 아니다. 프로그램(환경)이다.Node.js는 웹서버와 같이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node.js의 특징- 확성성이 있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서버사이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머신러닝이란 ? 머신러닝이란 ?직역하자면 '머신러닝 = 기계가 배운다' 라고 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의 세부 하위 집합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규칙을 일일이 지정하지 않고도데이터를 이용해 시스템이 스스로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어떠한 판단이나 예측을 하는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인공지능 혹은 딥러닝이란 ? 인공지능(AI)은 학습, 문제해결, 패턴인식 등과 같이 주로 인간 지능과 연결된 인지 문제를 해결해주는데 주력하는 컴퓨터 공학분야이다.쉽게 말하자면, 기계를 인간 행동의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가장 넓은 개념이며,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머신러닝이다. 또한 딥러닝은 머신러닝의 여러 방법 중 하나의 방법론으로 인공신경망 (Artificial Neural .. [JAVA] 직렬화(Serialization) 란 ? 직렬화란 ?직렬화(Serialization)는 객체 인스턴스의 데이터를 I/O스트림에 적합한 일련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이 과정을 거쳐 파일, 메모리 버퍼, 네트워크 전송을 통해 동일하거나 다른 컴퓨터환경에서 객체 인스턴스를 재구성할 수 있다.객체 인스턴스는 메모리 주소 값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주소 값을 그대로 송신하면 수신 받는 쪽에서는 아무 쓸모 없는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객체 인스턴스의 값의 형태로 변환이 필요하다. JAVA 객체 직렬화 구현 1) Serializable 구현클래스 객체의 직렬화를 가능하게 하려면, Serializable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한다.Serializable 인터페이스에는 메서드나 필드가 없으며, 직렬화 가능한 의미 체계를 식별하는 역할만 사용.. [JAVA] 리플렉션(Reflection) 이란? 리플렉션(Reflection) 이란? 리플렉션은 힙 영역에 로드된 Class 타입의 객체를 통해, 원하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인스턴스의 필드와 메소드를 접근 제어자와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PI이다. 여기서 로드된 클래스라고 함은, JVM의 클래스 로더에서 클래스 파일에 대한 로딩을 완료한 후, 해당 클래스의 정보를 담은 Class 타입의 객체를 생성하여 메모리의 힙 영역에 저장해 둔 것을 의미한다. 리플렉션의 장점?런타임 시점에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접근 제어자와 관계 없이 필드와 메소드에 접근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리플렉션의 단점?캡슐화를 저해한다.런타임 시점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므로 컴파일 시점에서 해당 .. [JAVA] 제너릭이란? 제너릭이란 ?List list1 = new ArrayList();List list2 = new ArrayList();Map map = new ArrayList();위와같이 꺽쇠안에 클래스 타입이 명시된 패턴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이걸 제네릭(Generic) 이라고 부르며, 제네릭 파라미터는 꺽쇠안에 포함하여 전달한다. 제너릭은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다루는 메서드나 컬렉션 클래스에 컴파일 시의 타입 체크를 해주는 기능이다.다시 말해 특정 타입을 미리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타입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 타입이라는 것. 제너릭의 장점 및 사용이유?타입에 대해 유연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타입 체크와 형변환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코드가 간결해진다.타입을 유연하게 처리하며, 잘못된 타입 사용으.. [ORACLE] 오라클 HINT 란? 오라클 HINT 란? 힌트는 SQL튜닝의 핵심부분으로 일종의 지시구문이다.SQL에 포함되어 쓰여져 옵티마이저(Optimizer)의 실행 계획을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게 해준다.오라클 옵티마이저라고 해서 항상 최선의 실행 계획을 수립할 수는 없으므로, 잘못된 실행 계획을 개발자가 직접 바꿀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사용자는 특정 SQL문장에서 어떤 인덱스가 선택도가 높은지에 대해 알고 있는데,이럴경우 옵티마이저에 의존하여 나온 실행 계획보다 훨씬 효율적인 실행계획을 사용자가 구사할 수 있다.단, 무분별한 힌트의 사용은 오히려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이 필요하다. Referencehttps://blog.naver.com/wideeyed/80036376623https://yulsfa.. 이전 1 2 3 다음